Recent Posts
Recent Comments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주택관리 법규 & 실무에 대한 이야기

공동주택 배수 및 통기장치 : 통기관(각개, 루프, 도피, 결합, 습윤, 신정, 특수통기관)의 목적, 종류, 특성 본문

카테고리 없음

공동주택 배수 및 통기장치 : 통기관(각개, 루프, 도피, 결합, 습윤, 신정, 특수통기관)의 목적, 종류, 특성

정빈 & 상준 아빠 2018. 8. 1. 20:10
악취 및 배수의 역류방지를 위한 장치 : ‘트랩(Trap)’, 배수관 일부분에 물 넣어 악취 등의 통제 및 원활한 배수의 유통을 위한 장치 : ‘봉수(封水, Water Seal)’와 함께 배수ㆍ통기장치 中 통기관(通氣管, Vent pipe)과 관련하여 살펴보고자 한다.




1. 통기관의 목적
① ‘트랩(Trap)’의 봉수 보호ㆍ파괴방지

② 원활한 배수유통

③ 신선한 공기 유통을 통한 관내의 청결유지


2. 통기관의 종류 및 특성
① 각개통기관(Individual Vent pipe, 各個通氣管)
ㄱ. 위생기구마다 각각 통기관을 설치하는 것으로 안정적ㆍ이상적인 방법으로 자기 사이펀작용의 방지. 단, 과다비용 발생

ㄴ. 관경 : 접속하는 배수관 관경의 1/2이상



② 루프통기관(Loop Vent pipe, 회로 및 환상통기관)
ㄱ. 2 ~ 8개 이상의 위생기구군을 일괄하여 봉수를 보호하기 위한 통기관
- 환상통기관 : 최상류의 기구 배수관이 배수 수평지관에 접속하는 위치의 직하에서 입상하여 신정통기관에 접속하는 통기관

- 회로통기관 : 최상류의 기구 배수관이 배수 수평지관에 접속하는 위치의 직하에서 입상하여 수직통기관에 접속하는 통기관

ㄴ. 관경 : 배수 수평지관과 통기 수직관 중 작은쪽 관경의 1/2이상




③ 도피통기관(Relief Vent pipe)
ㄱ. 루프통기관의 통기능률 촉진을 위한 최하류 기구배구관과 배수수직관 사이에 설치하는 통기관

ㄴ. 관경 : 접속하는 배경 수평지관 관경의 1/2이상(최소 40mm이상)


④ 결합통기관(Yoke Vent pipe)
ㄱ. 고층 건축물의 경우 배수수직주관과 통기수직주관을 매 5개 층마다 연결하여 설치하는 통기관

ㄴ. 관경 : 배수수직관과 통기수직주관 중 작은쪽 관경의 이상(최소 50mm)


⑤ 습식(습윤)통기관
ㄱ. 배수수평지관 최상류 위생기기 바로 아래 연결ㆍ설치하는 환상통기관에 연결하여 통기 및 배수의 기능을 겸하는 통기관


⑥ 신정통기관
ㄱ. 배수수직주관 끝을 관결을 줄이지 않고 옥상으로 연장하여 사용하는 단순하고 경제적인 통기관


⑦ 특수통기관
ㄱ. 소벤트방식 : 별도의 통기관을 미설치, 하나의 배수수직관으로 배수 및 통기를 겸하는 것으로 공기혼합 이음쇠ㆍ공기분이 이음쇠를 사용

ㄴ. 섹스티아방식 : 섹스티아 이음쇠ㆍ벤트관을 사용하영 유수에 선회력을 주어 공기코어를 유지, 하나의 관으로 배수와 통기를 겸하는 것으로 층수의 제한 없이 고층 및 저층 모두 사용가능
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