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택관리 법규 & 실무에 대한 이야기
결로현상의 원인, 피해 및 방지대책 본문
매년 겨울철 발생하는 결로(結露)현상, 내부ㆍ외부의 기온 차이에 의하여 이슬이 맺히는 것으로, 지속될 경우 곰팡이 증식을 통해 마감재 훼손, 주택의 성능 저하와 함께 비염 및 천식 등의 호흡기 질환과 피부 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등의 피해를 발생한다.

결로현상은 내부ㆍ외부의 기온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연적인 현상이지만, 건축물의 단열시공의 부실 등에 의해 발생한다.
[결로(結露)현상] : 내부의 수증기 등이 온도가 낮은 벽면 및 창문에 접촉하였을 때, 내부의 수증기량과 각 부분의 온도저하에 의해 온도가 낮은 면에 물방울처럼 부착하는 현상이다. 표면결로, 내부결로 등이 있다.
① 표면결로 : 천장ㆍ벽ㆍ마루 등 물체의 표면에 생기는 결로현상으로 물체의 표면 온도가 표면에 접하는 젖은 공기의 노점 이하일 때 일어나는 현상
② 내부결로 : 천장ㆍ벽ㆍ바닥 등 구조체 내부에서 생기는 결로현상
매년 겨울철 반복하는 결로현상의 원인, 피해 및 대책에 대하여 살펴보고자한다.
1. 결로현상의 원인
① 물체온도(표면온도)가 노점온도 이하일 때
② 내부ㆍ외부의 온도차이, 내부 상대습도 높을 때
③ 열관류율이 높을 때
④ 생활습관의 문제 : 환기ㆍ통풍부족
⑤ 적절하기 못한 건축, 단열공사의 부족 등

2. 결로현상의 피해
① 얼룩ㆍ때(오염) : 벽면 및 천장에 얼룩발생
② 곰팡이 피해 : 결로 면에 발생한 물방울에 의해 곰팡이를 증식
③ 기관지 질환의 원인 : 증식된 곰팡이에 의하여 내부에 확산, 공기오염 등을 통해 비염 및 천식 의 호흡기 질환과 피부 질환의 원인
3. 결로현상의 대책
① 표면결로의 방지대책
ㄱ. 흡습기ㆍ제습기 등을 설치, 내부의 상대습도 감소
ㄴ. 벽과 가구 등을 대략 10cm 이격
ㄷ. 지속적인 환기ㆍ통풍 등
ㄹ. 일정한 내부온도 유지
ㅁ. 단열재 등을 이용하여 열관류율 저하, 물체온도(표면온도)를 노점온도 이상으로 유지

② 내부결로의 방지대책
ㄱ. 이중벽, 방습층 및 통기층 설치ㆍ마련
ㄴ. 빗물의 역류방지
ㄷ. 통기성 있는 외벽 재료(다공질 벽돌 등)
③ 냉교현상의 의한 결로의 방지대책
ㄱ. 전기설비 : 금속관 사용을 피하고 VE관 및 CD관 등 합성수지재 전선관 사용

결로현상은 내부ㆍ외부의 기온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연적인 현상이지만, 건축물의 단열시공의 부실 등에 의해 발생한다.
[결로(結露)현상] : 내부의 수증기 등이 온도가 낮은 벽면 및 창문에 접촉하였을 때, 내부의 수증기량과 각 부분의 온도저하에 의해 온도가 낮은 면에 물방울처럼 부착하는 현상이다. 표면결로, 내부결로 등이 있다.
① 표면결로 : 천장ㆍ벽ㆍ마루 등 물체의 표면에 생기는 결로현상으로 물체의 표면 온도가 표면에 접하는 젖은 공기의 노점 이하일 때 일어나는 현상
② 내부결로 : 천장ㆍ벽ㆍ바닥 등 구조체 내부에서 생기는 결로현상
매년 겨울철 반복하는 결로현상의 원인, 피해 및 대책에 대하여 살펴보고자한다.
1. 결로현상의 원인
① 물체온도(표면온도)가 노점온도 이하일 때
② 내부ㆍ외부의 온도차이, 내부 상대습도 높을 때
③ 열관류율이 높을 때
④ 생활습관의 문제 : 환기ㆍ통풍부족
⑤ 적절하기 못한 건축, 단열공사의 부족 등

2. 결로현상의 피해
① 얼룩ㆍ때(오염) : 벽면 및 천장에 얼룩발생
② 곰팡이 피해 : 결로 면에 발생한 물방울에 의해 곰팡이를 증식
③ 기관지 질환의 원인 : 증식된 곰팡이에 의하여 내부에 확산, 공기오염 등을 통해 비염 및 천식 의 호흡기 질환과 피부 질환의 원인
3. 결로현상의 대책
① 표면결로의 방지대책
ㄱ. 흡습기ㆍ제습기 등을 설치, 내부의 상대습도 감소
ㄴ. 벽과 가구 등을 대략 10cm 이격
ㄷ. 지속적인 환기ㆍ통풍 등
ㄹ. 일정한 내부온도 유지
ㅁ. 단열재 등을 이용하여 열관류율 저하, 물체온도(표면온도)를 노점온도 이상으로 유지

② 내부결로의 방지대책
ㄱ. 이중벽, 방습층 및 통기층 설치ㆍ마련
ㄴ. 빗물의 역류방지
ㄷ. 통기성 있는 외벽 재료(다공질 벽돌 등)
③ 냉교현상의 의한 결로의 방지대책
ㄱ. 전기설비 : 금속관 사용을 피하고 VE관 및 CD관 등 합성수지재 전선관 사용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