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택관리 법규 & 실무에 대한 이야기
관리비 등(2) : 관리비 구성항목 본문
배우 김부선씨에 의하여 언론매체를 통해 공동주택의 관리비에 대한 비리 및 부정부패에 대한 척결에 대해 관심이 높아졌다. 몇 일 전, 경남 창원시에서 공동주택 관리비 집행실태 파악을 위해 관내 295개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아파트 관리비 집행상황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, '종합관리비 지수' 전체 평균은 27.2점(/100점)으로 나타났다.
1. 관리비 등의 항목(다음 항목의 월별 합계액)
① 일반관리비 : 인건비ㆍ제사무비ㆍ제세공과금(관리 기구가 사용한 전기료, 통신료, 우편료 및 관리 기구에 부과되는 세금 등)ㆍ피복비ㆍ교육훈련비ㆍ차량유지비ㆍ그 밖의 부대비용(관리용품구입비, 회계 감사비용, 그 밖에 관리업무에 소요되는 비용)
② 청소비(용역 & 직영)
③ 경비비(용역 & 직영)
④ 소독비(용역 & 직영)
⑤ 승강기유지비(용역 & 직영)
⑥ 지능형 Home Network 설비 유지비(용역 & 직영)
⑦ 난방비 : 난방 및 급탕에 소요된 원가(유류대, 난방비 및 급탕용수비)에서 급탕비를 뺀 금액
⑧ 급탕비 : 급탕용 유류대 및 급탕 용수비
⑨ 수선유지비
ㄱ. 장기수선계획에서 제외되는 공동주택의 공용부분의 수선ㆍ보수에 소요되는 비용
⑩ 위탁관리수수료(주택관리업자에게 위탁하여 관리하는 경우)

2. 관리비와 구분 징수 항목 : 장기수선충당금, 안전진단 실시비용
3. 사용료 등의 납부대행
① 전기료 : 공동으로 사용하는 시설의 전기료 포함
② 수도료 : 공동으로 사용하는 수도료 포함
③ 가스사용료
④ 지역난방 방식인 공동주택의 난방비 및 급탕비
⑤ 정화조오물수수료
⑥ 생활폐기물수수료
⑦ 공동주택단지 안의 건물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보험료
⑧ 대표회의 운영경비
⑨ 선거관리위원회 운영경비
4. 별도의 부과항목
① 주민 공동시설, 인양기 등 공용 시설물의 이용료를 해당 시설의 이용자에게 따로 부과가능. 주민 공동시설의 운영을 위탁한 경우 주민 공동시설 이용료는 주민 공동시설의 위탁에 따른 수수료 및 주민공동시설 관리비용 등의 범위에서 정하여 부과ㆍ징수하여야 한다.
② 관리주체는 보수가 필요한 시설(누수 시설 포함)이 2세대 이상의 공동사용에 제공되는 것인 경우 직접 보수하고, 비용을 별도로 부과할 수 있다.
5. 관리비 등의 예치 및 관리
① 관리주체는 관리비 등을 대표회의가 지정하는 금융기관에 예치하여 관리하고, 장기수선충당금은 별도의 계좌로 예치ㆍ관리하여야 한다. 계좌는 관리사무소장의 직인 외에 대표회의의 회장 인감을 복수로 등록할 수 있다.
6. 관리비 등의 내역 공개
① 공동주택의 관리주체는 부과한 관리비 등을 다음 달 말일까지 해당 공동주택단지의 인터넷과 공동주택 관리정보system에 공개하여야 한다. 잡수입(재활용품의 매각 수입, 복리시설의 이용료 등 공동주택을 관리하면서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수입)의 경우 동일한 방법으로 공개하여야 한다.